리눅스 터미널에서 디스크의 용량을 확인하거나 파일의 용량을 확인할 때 df, du 명령어를 사용합니다.
자주 사용하는 df와 du 명령어에 대해서 정리하였습니다.
df 명령어
df 명령어를 입력하면 파일시스템에 대한 전체 용량과 사용가능한 용량을 보여줍니다.
$ df
Filesystem 1K-blocks Used Available Use% Mounted on
udev 12264724 0 12264724 0% /dev
tmpfs 2460004 1952 2458052 1% /run
/dev/sda2 271547844 231888176 25980832 90% /
tmpfs 12300020 91200 12208820 1% /dev/shm
tmpfs 5120 4 5116 1% /run/lock
df -h
-h
옵션을 주면 byte를 사람이 보기 편하게 변경해 줍니다.
$ df -h
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% Mounted on
udev 12G 0 12G 0% /dev
tmpfs 2.4G 2.0M 2.4G 1% /run
/dev/sda2 259G 222G 25G 90% /
tmpfs 12G 101M 12G 1% /dev/shm
tmpfs 5.0M 4.0K 5.0M 1% /run/lock
df -Th
파일시스템의 타입을 보고 싶다면 -T
옵션을 함께 주시면 됩니다.
mjs@mjs:~$ df -Th
Filesystem Type Size Used Avail Use% Mounted on
udev devtmpfs 12G 0 12G 0% /dev
tmpfs tmpfs 2.4G 2.0M 2.4G 1% /run
/dev/sda2 ext4 259G 222G 25G 90% /
tmpfs tmpfs 12G 101M 12G 1% /dev/shm
tmpfs tmpfs 5.0M 4.0K 5.0M 1% /run/lock
du 명령어
터미널에서 현재 디렉토리의 용량을 보고 싶으면 du를 사용하면 됩니다.
아래와 같은 파일구조에
mjs@mjs:~/test/fts$ tree
.
├── aa
│ └── file2.txt
├── bb
│ ├── dd
│ │ ├── file6.txt
│ │ └── file7.txt
│ ├── file3.txt
│ ├── file4.txt
│ └── file5.txt
├── cc
│ ├── file8.txt
│ ├── file9.txt
│ └── symbolic.txt -> file8.txt
├── file1.txt
├── main.cpp
└── main.o
du
명령어를 사용하면 이렇게 출력이 됩니다. 왼쪽은 kb입니다.
$ du
4 ./bb/dd
8 ./bb
4 ./aa
4 ./cc
40 .
du -h
-h
옵션을 주면 사람이 보기 편하게 크기를 출력해 줍니다.
$ du -h
4.0K ./bb/dd
8.0K ./bb
4.0K ./aa
4.0K ./cc
40K .
전체 디렉토리 말고, 폴더 1개의 크기만 보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폴더명을 함께 전달하면 됩니다.
$ du -h ./bb
4.0K bb/dd
8.0K bb
du -sh
전체 크기만 보고 싶다면 -s
옵션을 주면 됩니다. 다음과 같이 중간 과정은 생략하고 결과만 출력됩니다.
$ du -sh
40K .
du -ah
반대로 모든 파일에 대해서 보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-a
옵션을 주면 됩니다.
$ du -ah
0 ./bb/file5.txt
0 ./bb/dd/file7.txt
0 ./bb/dd/file6.txt
4.0K ./bb/dd
0 ./bb/file3.txt
0 ./bb/file4.txt
8.0K ./bb
0 ./aa/file2.txt
4.0K ./aa
0 ./cc/symbolic.txt
0 ./cc/file9.txt
0 ./cc/file8.txt
4.0K ./cc
0 ./file1.txt
4.0K ./main.cpp
16K ./main.o
40K .
'tech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inux - tar, tar.gz, tar.bz2 압축/해제 명령어 정리 (0) | 2021.04.22 |
---|---|
Linux - wget으로 파일 다운로드 (zip, tar.gz 압축 해제) (0) | 2021.04.22 |
Linux - tee 명령어로 터미널 출력 내용을 파일로 저장하기 (0) | 2021.04.22 |
21/04/19 ip 명령어 사용법 (0) | 2021.04.19 |
21/04/12 Vmware Host-Only, NAT, Bridge 차이 (0) | 2021.04.12 |